
안그래도 바쁜데
그 와중에 집중력 발휘해서
머리를 굴려야하는
약물용량계산 !!
전혀 어렵지 않아요
팔로팔로미


일단 먼저 기본부터 짚어볼까요?
이건 정말 모르면 안되는 겁니당 !
1g = 1000mg
1mg = 1000mcg
그리고
1ml = 1cc
이건 너무 쉽죠?

병원마다 다르지만
보통 처방이 요렇게 납니다!
처방에서 우리가 꼭 파악해야 할 것은
1. 처방 단위
2. 희석 농도

처방단위는 mcg/min 이네요
이 처방단위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
mcg/kg/min
mcg/kg/day
mg/kg/hr
mg/kg/day
mg/hr
mg/min
units/hr
units/min
등등등
희석농도는 약물 몇 mg 을
믹스용액 몇 ml 에 희석할 것인지를 의미합니다.
위에서는 norepinephrine 4mg/4ml 앰플
총 2개 즉, 8mg의 약물을
포도당 용액 500ml 에 믹스하므로
8mg/500ml = 16mcg/cc 이죠
이 때, 주의할 점은
8mg/8ml 를 그대로 500ml bag 에 주입해버리면
총량이 508ml 가 되어버리기 때문에
실제 믹스할 때는
포도당 용액 500ml 에서 8cc를 빼어 버리고
약물 8cc를 믹스하여 총량을 500cc로
맞춰야 합니다 !

아 근데 이 귀찮은 계산 과정을
왜 해야 하냐…
이런 정밀주입약물들은 시간당 주입량을
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
infusion pump를 통해 주입해야 하기 때문이고

모든 인퓨전 펌프는 입력할 때
시간당 주입량 즉, cc/hr 의 단위로
입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ㅠㅠ
그래서 우리는 처방을 보고
처방단위와 희석농도를 파악한 뒤
cc/hr 값을 구해야 합니다!
어떤 병원은 아예 처방이 날 때
전산에서 cc/hr 가 계산되서 나온다는데…
부럽…ㅠ.ㅠ
자 그럼 계산 연습해볼까요?

잘 따라오고 계신가요?
하나 더 연습해볼까요?


어때요오 ?
별 거 아니쥬 ?
참 쉽쥬 ?

오늘도 몸도 머리도
너무 바쁜 우리 간호사들
화이팅
